반응형
기본적으로 ... 구글에 검색하는 정보가 너무 간략하게 되어있다.
스프링 설정 파일과 xml에 빠삭한 사람이라면 금방 할 수 있었겠지만...
스프링을 잘 알지못한 점이 큰거 같다.
문제점 : 구글에서 ehcache 를 모두 검색하여 적용해 보았지만 에러는 안나고, 실제로 캐시가 적용 되지 않았다.
해결 :
단순히 설정하고 사용하면 되는 거였기 때문에, 그대로 해보았다.
빈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기존 사용하는 servlet-context.xml 모두 떄려 넣었고, 여기서 문제 생길거라고는 생각지 않았음.
1. annotation-driven 중복 선언이 문제인지 ,
2. web.xml 파일 내부의 <context-param>, <servlet> 두 개의 차이점인지 둘중의 하나 떄문에 문제 생기는 거였음.
아마도 후자일듯. 확실하진 않지만.
<context-param>, <servlet> 이 두개의 차이를 좀 더 공부해야봐야 함.
servlet-context.xml 가 아닌 새로운 xml 을 만들어 context-param 에 등록하고 적용했더니 바로 됨 ........
어이없을 정도로 잘됨 ..
참고 : 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cache
반응형
댓글